- 리보핵산/조절자 상호작용에 의한 암 발생, 악성화, 재발, 분화조절, 리보핵산 치료제 연구
- 종양마이크로RNA (oncomiR) 생성-분해 핵심 리보핵산 조절자에 의한 암의 악성화 연구
- 종양마이크로RNA sensing 시스템을 이용한 항암 저해제의 repositioning, 대규모 탐색 및 발굴
- 뇌종양 리보핵산 분해기구 신호전달에 의한 종양RNA의 활성변화-뇌종양 악성화 영향 추적
- 간암 유발 hepatitis C virus 증식 핵심분자기구 발굴, 신호전달, 항암-항바이러스 표적화 전략 연구
- 췌장암에서 전사후 조절, 암분화 유도, autophagy 조절을 통한 신규 항암전략 연구
- 뇌척수 전이암 뇌척수액 exosomal small RNA 분석을 통한 신규 바이오마커 발굴-항암전략 연구
- 암환자 시료기반 스플라이싱 표적 및 antisense oligonucleotide (ASO) 치료제 유효성 연구
- 노화와 암의 악성화 메커니즘의 분자생물학적 연관성 연구
대학/학과명
국립암센터 암분자생물학연구과/암의생명과학과 RNA분자생물학연구실
실험실명
RNA분자생물학연구실 (RNA Molecular Biology Lab)
홈페이지
https://www.ncc.re.kr/main.ncc?uri=school04_2
지도교수
: 김종헌
주소:
경기 고양시 일산동구 일산로 323 국립암센터 암분자생물학연구과 RNA분자생물학연구실
기관소개
- 국립암센터는 암에 대한 전문적인 연구와 진료를 통하여 우리나라 국민의 암 발생률과 사망률을 낮추고 암 환자의 삶의 질을 높여 국민보건 향상에 이바지하기 위해 국립암센터법에 따라 설립된 암 연구, 진료, 교육 전문기관입니다.
- 국립암센터 암분자생물학연구과는 암연구의 분자생물학적인 접근법을 이용한 기초연구를 통해 우수한 연구실적을 얻고 궁극적으로 이를 임상에 적용하고자 하는 목표를 가지고 2021년 새롭게 개설된 기초연구 중심의 연구과입니다.
- 국립암센터 국제암대학원대학교 (NCC-GCSP)는 인류가 직면한 ‘암’이라는 도전과제에 해법을 제시하기 위해 2014년에 설립된 교육-연구기관입니다. 암의생명과학과에서는 암중심의 특화된 다학제적 커리큘럼과 암연구의 최신 동향을 중심으로 전문 연구인력 양성을 위한 다각도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그동안 국립암센터가 교류해온 국내외 유수 연구기관 및 국제기구 등과 연계하여 국제협력교육활동을 활발하게 진행하고 있습니다.
RNA분자생물학연구실 (RNA Molecular Biology Lab)
COVID19 mRNA 백신 연구를 통해 그 관심과 유효성이 증폭된 리보핵산(RNA)에 대해 "RNA therapeutics" 전략을 수립하고, 암과 다양한 인간의 질병에서 리보핵산/조절자 상호작용 분자생물학 메커니즘을 정밀분석하여 신규 항암표적 발굴하고, 저해연구를 통해 항암후보물질 도출하고자 합니다.
전문적 암연구 경험, 논문-특허발표, 축적된 연구결과들을 통해 우수 연구실적-경력을 희망하는 지원자들을 찾습니다.
- 리보핵산/조절자 상호작용에 의한 암 발생, 악성화, 재발, 분화조절, 리보핵산 치료제 연구
- 종양마이크로RNA (oncomiR) 생성-분해 핵심 리보핵산 조절자에 의한 암의 악성화 연구
- 종양마이크로RNA sensing 시스템을 이용한 항암 저해제의 repositioning, 대규모 탐색 및 발굴
- 뇌종양 리보핵산 분해기구 신호전달에 의한 종양RNA의 활성변화-뇌종양 악성화 영향 추적
- 간암 유발 hepatitis C virus 증식 핵심분자기구 발굴, 신호전달, 항암-항바이러스 표적화 전략 연구
- 췌장암에서 전사후 조절, 암분화 유도, autophagy 조절을 통한 신규 항암전략 연구
- 뇌척수 전이암 뇌척수액 exosomal small RNA 분석을 통한 신규 바이오마커 발굴-항암전략 연구
- 암환자 시료기반 스플라이싱 표적 및 antisense oligonucleotide (ASO) 치료제 유효성 연구
- 노화와 암의 악성화 메커니즘의 분자생물학적 연관성 연구
담당자 : 김종헌
연락처 : Ejhkim@ncc.re.kr